티스토리 뷰
최근 1 ~ 2년은 격동의 부동산 재테크 시즌 이었던것 같습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와 관련되어서 그 시행 시점 이전에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된 분양을 받고 부동산을 구매하려고 “영끌” 이라는 단어가 새로 파생될만큼 붐이 었습니다.
공시지가 조회를 동안 아파트 또는 주택에 시세를 확인하고 그 정보를 통하여 투자에 기반하여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을것 같습니다.
그만큼 현재 해당 아파트 주택의 개별공시지가는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은이 개별공시지가를 조회 하는 방법과 해당 용어가 정확히 어떤뜻이고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별공시지가 뜻은?
2. 개별공시지가는 어떻게 쓰이나
3.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개별공시지가뜻은?
개별공시지가란 시장, 군수, 구청장이 세금이나 지방세 등의 세금을 부과할 목적으로 국토교통부장관이 매년 공시하는 표준지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산정이됩니다.
다만 그냥 산정되는것은 아니며 토지소유자 시,군,구 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등의 의견을 듣고 조율하여 최종 심의를 거칩니다.
그래서 심의가 완료되면 개별 토지 면적당 가격(원/제곱미터)으로 책정되는 것입니다.
말이 많이 어렵습니다. 조금 쉽게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토지나, 건물 주택 아파트 등에 대하여 특정 시기마다 산정되는 기준 가격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조금 쉽게 이해가 되실것 같습니다.
개별공시지가는 어떻게 쓰이나
해당 개별공시지가는 토지관련 국가의 세금 그리고 지방세의 부과에 대한 기준으로 사용될수 있으 개발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을 부과하는 기준으로 사용이 될 수도 있습니다.
많이 햇갈려 하시는 표준지 공시지가와 개별공시지가의 구분을 다음과 같이 구분해 놓았으니 참고해 주십시오
|
표준지공시지가 |
개별공시지가 |
주체 |
국토해양부장관 |
시.군.구청장 |
평가대상 |
50만 필지 |
전국 필지 |
평가방식 |
거래사례비교법(원칙) |
토지가격 비준표 적용(표준지 공시지가로부터 추정) |
수익환원법 |
- |
|
원가법 |
- |
|
효력 |
토지거래 지표 |
국세 및 지방세의 기준 |
개별토지가격의 지가 정보 제공 |
각종 부담금의 부과 |
|
보상금 산정 |
국.공유재산 사용료. 대부료 산정을 위한 토지가격 |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는방법이 인터넷 검색인 부동산 알리미를 통하여 조회하는 방법입니다. 오늘은 그 방법으로 조회하는 방법을 공유 드려 보겠습니다.
부동산 알리미로 접속하여 들어가 주세요
접속이 원할하지 않으신 분들을 위하여 바로가기를 다음과 같이 공유 드립니다.
화면 왼쪽 상단에 있는 3개의 공시가격중 본인이 필요한 정보나 궁금한 내용에 대하여 클릭을 진행하여 주시면 됩니다.
그다음 아래와 같은 화면에서 정기공시 탭의 하단에 “바로가기”를 클릭하여 주십시오
필요한 소제지의 주소 정보를 입력후에 다음에 나오는 건물명(아파트명)을 입력한후 공동주택가격(안) 확인을 눌러주십시오
아래와 같은 정보가 확인되면 잘 조회가 되신겁니다. 필요한 정보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위의 진행방법은 예시이니 참고만 부탁 드리며, 조회된 주소는 아무 상관이 없음을 말씀드립니다!
부동산 알리미를 통하여 쉽게 2021년 개별공시지가를 확인하는 방법을 함께 살펴 보았습니다.
어려운 용어인만큼 다가가기도 쉽지 않지만, 주택 거래나 재산세 등의 세금 계산에는 반드시 필요한 내용이오니, 한번쯤은 확인하기 쉽도록 찾아볼수 있게 해 놓으면 좋으실것 같습니다.
좋은 투자를 위한 스마트한 검색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오늘도 즈~~~~~을 거운 하루 되십시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