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21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일괄지급

(대상/금액/신청방법)

 

안녕하세요

 

경기도에 거주하는 우리 청년들에게

어려운시기에 아주 희망적인 소식이

전해지게 되었습니다.

 

경기도에서 사회적 기본권

보장을 지원하는 경기도형

 

기본소득제도인

청년기본소득의 혜택을

받아보실수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로 취업에 대한 걱정도

많은 시기이고 실제로 일자리도

 

구하기 어려운 시기인 만큼

청년들의 작은 힘이 되어줄

 

2021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관련 정보를 함께 확인해 보겠습니다.









 

 

청년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

청년기본소득은 경기도에서

시행하는 청년들을 위한 정부 정책 입니다.

 

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 부터 시작하여

건강수준의 향상 등을 목표하며

 

이런 것들로 인한 사회적 기본권

보장을 지원하기 위하여

 

분기별 25만원씩 총 100만원을

지급하는 기본 소득제도 입니다.

 

청년들의 행복추구를 목표로하는

아주 좋은 지원 제도 입니다.

 

청년희망키움통장 (대상 자격/지원금액/신청방법)

청년희망키움통장 (대상 자격/지원금액/신청방법) 안녕하십니까 취업도 쉽지 쉽지않은 요즘시대에 사업은 진짜 발을 내딧기도 쉽지 않은 어려운 사회속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열심히 일해서 모

andsharp.tistory.com

 

 

 

 

 

 

청년기본소득 지급 대상 확인

 

우선 첫 번째로

 경기도에서 단독으로 시행되는 제도로

 

 경기도의 거주하고 있는

 청년들이 해당이 됩니다

 

 그리고 청년이라는 타이틀이 있기 때문에

 만 24세 청년으로 한정됩니다.

 

  3년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계속 거주 중인 청년이나

 

 또는 중간에 옮기는 과정이 있었다면

 합산 10년이상  주민등록에

 

경기도 거주가 확인된다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기본소득 지급 금액 확인하기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지급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칙은 분기별 25만원씩

 총 4번의 지급을 진행하며

 

 년간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총 100만원입니다

 

 

청년주거급여 분리지급 (대상/지원금액/신청방법)

청년주거급여 분리지급 (대상/지원금액/신청방법) 안녕하십니까 많은 대학생들이 학업상의 이유 학교와의 거리상의 이유로 약 20세 이상부터는 부모님과 별도로 나와 단독으로 생활하는 경우가

andsharp.tistory.com

 

 

 

 

 

 

 

 

2021년 변경사항 필수 확인

 

2021년에는 변동 사항이

 조금 있는데요

 

 결국 100만 원을 받는 건 똑같으니

 아래 혜택이 필요하신 분들만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코로나로 인하여 어려운 시기인 만큼

 1분기 신청을 통하여

 

 100만 원을 한 번에 지급하는

일괄지급 방법이 생겼습니다.

 

이는 신청서를 신청할 때

 일괄 지급 항목에 동의하면

 

 가능하다고 하니

 신청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신청일자 및 지급일자 확인

 

 

 신청하는 부분에 있어서

 신청 일정 확인이 매우 중요합니다

 

 신청기간에 신청을 해야 제때

   놓치지 않고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1년에는 일괄지급이 가능하기때문에

 1분기 시점만 확인하면 

 

올 한해 받을 수 있는 지원금을 모두

 받을수 있습니다

 

 2011년 1분기 신청기간은

 3월 2일부터 ~  3월 26일 까지입니다

 

 그리고 지급이 되는 시기는

  4월 14일 부터 지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외에 2분기 부터 ~ 4분기 일정은

아래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청년 내일채움공제(조건/신청방법/대상)

청년 내일채움공제 (조건/신청방법/대상) 안녕하세요  취업에 걱정이 많으시죠??  취업을 하려고 보면 참 애매합니다  중소기업을 가자니 뭔가 아쉬움이 조금 있고  대기업을 목적하니  취업

andsharp.tistory.com

 

 

 

 

 

 

 

 

지급 방법 및 사용처 확인 

지급 방법은 지금 거주하고 계시는

 시 군 구의 지역 화폐를 통하여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역 카페가 없는 성남시는

 카드와 모바일로 제공이 가능하고

 

 김포시는  모바일로만

 제공을 하는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이외의 경기도 시군구 지역은

 모두 지역 화폐로 발급이 됩니다.

 

그리고 지역화폐로 발급이 되다 보니

 사용처 또한 해당 지역에서

 

지역화폐가능 지역만

사용이 가능합니다

 

 전통시장 및 소상공인업체

 즉 연매출 10억 원 이하의 업체

 

 백화점 대형마트 등

 연매출 10억 원이 넘는 업체는

 

 사용이 불가하니 참고해주세요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하러 가기

 

자 이제   신청 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신청은 잡아바 라는  통합접수시스템에서

 신청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데요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apply.jobaba.net)

 

온라인 신청으로 하시면 됩니다

 

오전 첫 번째로 신청서를

작성해 줄 것인데요

 

 본인이 몇 분기부터

  지급이 가능한지 우선 확인을 하고

 

올해 지급 받을 기본소득 금액을

한번에 받으실 분들께서는

 

 기본소득 한 번에 지급받기

동의 여부를 체크해주세요

 

 한 번에 지급받지 않으실 분들은

 체크 하지 않으시고 진행하시면

 

 매 분기마다 지급이 가능합니다.



 기타 인적 사항을 작성해주시고

 개인정보 제공 및 활용 동의를 해 주세요

 

 그리고 주민등록 뒷자리가 포함 된

 주민등록 초본을 첨부하여

 

 신청하여 주시면 됩니다

 

주민등록 초본은 2021년 3월 2일

이후 발급본으로 신청하는점 

 

꼭 참고 해 주시고

인터넷 발급방법도 공유 드립니다.

 

 

주민등록등본 인터넷발급 쉽게 따라해보자

안녕하십니까 실천하자 천천히 즐기자 Andsharp입니다. 은행업무, 회사 기타 여러 가지 등록할 때 본인의 신분외의 가족간의 관계에 대한 증빙이 필요한 경우가 다수 발생됩니다. 그때 많이 쓰는

andsharp.tistory.com

 

대리 신청도 가능은 하나

 대리는 부모나 배우자만

 

 가능하며 대리 신청시에

대리인과의 관계가 나타나는

 

 가족 관계 증명서 등의 서류도

 추가  첨부를 해야 합니다.











소급신청 확인하기

 

2021년 1월 1일 기준으로

 만 24세 청년의 한하여

 

 지난 분기 미 신청을 하셨다면

 추가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차 배당 분기 소급신청 항목에

 예를 신청하신다면 지난 분기

 

받지 못했던 소급 신청 분

지급이 가능하오니 참고해 주세요

 

아래 예시 꼭 참고해 주세요

 

96년 1월 2일생이 처음 신청한경우

2020년 2~4분기를 지급받지 못함

 

그래서 

 

2020년 2분기 ~ 3분기 ~ 4분기 소급신청

항목에 “예”를 선택하면

 

소분금액까지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







유의 사항 및 Q&A



 

2020년 4분기 자동신청동의자도

별도로 신청을 해야 하는지??

 

기존 수령자분들 중 자동신청에

동의하신분들은 별도로 신청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자동신청에 동의했는데

주소 또는 핸드폰 번호가 바뀐경우는

어떻게 해야하는지??

 

1분기 신청기간 내에 

신청정보를 수정하시면 됩니다

 

관할시군이 변경된 경우에는

초본을 추가 제출해 주셔야 합니다.

 

(신청현황 ▶ 1분기 ▶ 신청확인하기 ▶

보완하기 ▶ 신청정보 수정)




이전분기 자동신청 동의자의경우

20년 2분기 3분기 추가신청(소급신청)

이 가능한지??

 

가능하며, 신규신청할 필요 없이

1분기 신청기간 내에 신청정보를

 

수정하여 추가 신청이 가능합니다.

(신청현황 ▶ 1분기 ▶ 신청확인하기 ▶

보완하기 ▶ 추가신청 “예” 체크)







 

 

청년기본소득 문의처 공유

지역별로 문의가 가능한 문의처

목록을 다음과 같이 공유 드립니다.

 

중간에 문제가 발생되거나

신청이 잘 되지 않는경우에는

 

하기 문의처에 연락하여

문의후 진행하여 주시면 됩니다.

 

우선 신청절차 관련 대표 전화는

경기도 콜센터 (031-120)

 

그리고

 

온라인 시스템 관련 대표전화는

경기도 일자리재단(1644-4264)



시군명

전화번호

수원시

콜센터

1899-3300

청년정책관

031-228-3963, 3955

고양시

콜센터

031-909-9000

청년담당관

031-8075-2724

용인시

콜센터

1577-1122

청년담당관

031-324-2793

성남시

콜센터

1577-3100

상대원2동

031-729-6756

수정구청

031-729-5213

상대원3동

031-729-6879

신흥1동

031-729-5614

하대원동

031-729-6793

신흥2동

031-729-5633

도촌동

031-729-6890

신흥3동

031-729-5648

분당구청

031-729-7211

태평1동

031-729-5671

분당동

031-729-8104

태평2동

031-729-5687

수내1동

031-729-8114

태평3동

031-729-5714

수내2동

031-729-8123

태평4동

031-729-5732

수내3동

031-729-8134

수진1동

031-729-5138

정자동

031-729-8144

수진2동

031-729-5773

정자1동

031-729-8274

단대동

031-729-5794

정자2동

031-729-8154

산성동

031-729-5815

정자3동

031-729-8162

양지동

031-729-5238

서현1동

031-729-8173

복정동

031-729-5852

서현2동

031-729-8184

위례동

031-729-5966

이매1동

031-729-8194

신촌동

031-729-5873

이매2동

031-729-8204

고등동

031-729-5893

야탑1동

031-729-8214

시흥동

031-729-5907

야탑2동

031-729-8224

중원구청

031-729-6211

야탑3동

031-729-7873

성남동

031-729-6842

금곡동

031-729-8282

중앙동

031-729-6634

구미동

031-729-8297

금광1동

031-729-6647

구미1동

031-729-8414

금광2동

031-729-6674

판교동

031-729-8425

은행1동

031-729-6971

삼평동

031-729-8435

은행2동

031-729-6714

백현동

031-729-8334

상대원1동

031-729-6734

운중동

031-729-8445

부천시

콜센터

032-320-3000

 

 

안산시

콜센터

1666-1234

기획예산과

031-481-3093

031-369-1604

화성시

콜센터

1577-4200

일자리정책과

031-5189-6420

남양주시

미래인재과

031-590-8572,4089

 

 

와부읍

031-590-8208

조안면

031-590-4957

진전읍

031-590-5831

별내동

031-590-8508

화도읍

031-590-4053

호평동

031-590-2852

진건읍

031-590-4884

평내동

031-590-8573

오남읍

031-590-4446

금곡동

031-590-2326

퇴계원읍

031-590-4931

양정동

031-590-2984

별내면

031-590-2616

다산1동

031-590-1941

수동면

031-590-4943

다산2동

031-590-2675

안양시

콜센터

031-8045-7000

청년정책관

031-8045-5788

평택시

복지정책과

031-8024-3045

송탄동

031-8024-6998

팽성읍

031-8024-5621

지산동

031-8024-7052

안중읍

031-8024-8522

송북동

031-8024-7081

포승읍

031-8024-8723

신장1동

031-8024-7118

청북읍

031-8024-8764

신장2동

031-8024-7154

진위면

031-8024-6720

신평동

031-8024-5684

서탄면

031-8024-6821

원평동

031-8024-5721

고덕면

031-8024-6851

통복동

031-8024-5751

오성면

031-8024-8813

비전1동

031-8024-5786

현덕면

031-8024-8913

비전2동

031-8024-5823

중앙동

031-8024-6924

세교동

031-8024-5858

서정동

031-8024-6959

용이동

031-8024-5882

의정부시

교육청소년과

031-828-2433

 

 

흥선동

031-870-6872

송산3동

031-870-7662

호원1동

031-870-7346

의정부1동

031-870-6987

호원2동

031-870-7202

의정부2동

031-870-7313

신곡1동

031-870-7449

장암동

031-870-7560

신곡2동

031-870-7594

자금동

031-870-7855

송산1동

031-870-7811

가능동

031-870-7056

송산2동

031-870-7683

녹양동

031-870-7092

파주시

일자리경제과

031-940-4555

파평면

031-940-8164

문산읍

031-940-8274

교하동

031-940-8113

조리읍

031-940-8134

운정1동

031-820-7704

법원읍

031-940-8054

운정2동

031-820-7744

파주읍

031-940-8033

운정3동

031-820-7654

광탄면

031-940-8154

금촌1동

031-940-8201

탄현면

031-940-8095

금촌2동

031-940-8229

월롱면

031-940-8564

금촌3동

031-940-8750

적성면

031-940-8555

장단출장소

031-940-8252

시흥시

청년청소년과

031-310-2059,3695,3199

 

 

김포시

콜센터

031-980-2114

 

 

광명시

콜센터

1688-3399

 

 

광주시

오포읍

031-760-4854

경안동

031-760-4567

초월읍

031-760-4905

송정동

031-760-1955

곤지암읍

031-760-4921

쌍령동

031-760-1919

도척면

031-760-4939

광남 1동

031-760-1973

퇴촌면

031-760-4961

광남 2동

031-760-4533

남종면

031-760-4974

탄벌동

031-760-2314

남한산성면

031-760-4986

 

 

군포시

청소년청년정책과

031-390-0567,0790

 

 

이천시

교육청소년과

031-644-4349

 

 

장호원읍

031-644-8414

모가면

031-644-8648

부발읍

031-644-8454

설성면

031-644-8669

신둔면

031-644-8506

율 면

031-644-8696

백사면

031-644-8536

창전동

031-644-8735

호법면

031-644-8545

증포동

031-644-3871

마장면

031-644-8577

중리동

031-644-8771

대월면

031-644-8613

관고동

031-644-8785

오산시

아동청소년과

031-8036-7895

 

 

중앙동

031-8036-6208

남촌동

031-8036-6280

대원동

031-8036-6235

세마동

031-8036-6559

신장동

031-8036-6288

초평동

031-8036-6363

하남시

평생교육과

031-790-6647

미사1동

031-790-5058

천현동

031-790-5262

미사2동

031-790-6912

신장1동

031-790-5695

감북동

031-790-5789

신장2동

031-790-5668

감일동

031-790-6307

덕풍1동

031-790-5649

위례동

031-790-5517

덕풍2동

031-790-5391

춘궁동

031-790-5704

덕풍3동

031-790-6914

초이동

031-790-5590

풍산동

031-790-5803

 

 

양주시

사회복지과

031-8082-5706

양주1동

031-8082-7712

백석읍

031-8082-7511

양주2동

031-8082-7731

은현면

031-8082-7553

회천1동

031-8082-7793

남면

031-8082-7583

회천2동

031-8082-7812

광적면

031-8082-7612

회천3동

031-8082-7832

장흥면

031-8082-7644

회천4동

031-8082-7858

구리시

복지정책과

031-550-8343

 

 

갈매동

031-550-8984

교문2동

031-550-8535

동구동

031-550-2662

수택1동

031-550-8489

인창동

031-550-2693

수택2동

031-550-8595

교문1동

031-550-8525

수택3동

031-550-8716

안성시

가족여성과

031-678-2266

서운면

031-678-3736

고삼면

031-678-3973

양성면

031-678-3847

공도읍

031-678-3645

원곡면

031-678-3856

금광면

031-678-3718

일죽면

031-678-3632

대덕면

031-678-3795

죽산면

031-678-3928

미양면

031-678-3778

안성1동

031-678-4003

보개면

031-678-3688

안성2동

031-678-4033

삼죽면

031-678-3942

안성3동

031-678-4053

포천시

일자리경제과

031-538-2561

 

 

소흘읍

031-538-4154

일동면

031-538-4533

군내면

031-538-4212

이동면

031-538-4553

내촌면

031-538-4264

영북면

031-538-4612

가산면

031-538-4312

관인면

031-538-4663

신북면

031-538-4363

화현면

031-538-4713

창수면

031-538-4413

포천동

031-538-4773

영중면

031-538-4466

선단동

031-538-4813

의왕시

일자리과

031-345-2714

 

 

여주시

가남읍

031-887-3836

대신면

031-887-3935

점동면

031-887-3823

북내면

031-887-3954

능서면

031-887-3855

강천면

031-887-3994

흥천면

031-887-3883

여흥동

031-887-3777

금사면

031-887-3903

중앙동

031-887-3436

산북면

031-887-3929

오학동

031-887-3476

양평군

일자리경제과

031-770-2626

단월면

031-770-3211

양평읍

031-770-3031

청운면

031-770-3232

강상면

031-770-3061

양동면

031-770-3263

강하면

031-770-3073

지평면

031-770-3301

양서면

031-770-3122

용문면

031-770-3316

옥천면

031-770-3151

개군면

031-770-3362

서종면

031-770-3165

지평면

031-770-3301

동두천시

복지정책과

031-860-2214

 

 

생연1동

031-860-3017

불현동

031-860-3105

생연2동

031-860-3036

송내동

031-860-3143

중앙동

031-860-3059

소요동

031-860-3164

보산동

031-860-3075

상패동

031-860-3174

과천시

복지정책과

02-3677-2866

 

 

가평군

복지정책과

031-580-2211

 

 

연천군

복지정책과

031-839-2279

 

 

 

 

2021 국가장학금 2차 신청기간 소득분위 기준(한국 장학재단)

2021 국가장학금 2차 신청기간 소득분위 기준(한국 장학재단) 안녕하세요  겨울방학이 지나면 올해도  새학기가 시작이 됩니다  처음으로 대학생이 되거나  복학을 하시는 분들에게는  대학

andsharp.tistory.com

 

 

지금까지 함께 2021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의

 

대상 금액 신청방법 부터

일괄지급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청년들도 나라에서 주는

복지를 활용하여 더욱 좋은

 

일자리를 찾으셨으면 좋겠고

나아가 경기도 지역의 경제 활성이

되는 계기도 되었으면 합니다.

 

그럼 기간내 신청해서

꼭 지원 받으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행복하고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댓글